Atrophy & MetaplaisaOLGA and OLGIM staging systems on the risk assessment of gastric canc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rospective cohorts

관리자
2025-04-17
조회수 43

Benites-Goñi H, Cabrera-Hinojosa D, Latorre G, Hernandez AV, Uchima H, Riquelme A.

Therap Adv Gastroenterol. 2025 Mar 18;18:17562848251325461. doi: 10.1177/17562848251325461.


Introduction

위암(GC)의 발생률과 사망률은 감소 추세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전 세계에서 가장 흔한 암 중 하나이다. 환자의 예후는 대부분 진단 당시의 병기(stage)에 따라 결정되며, 조기 진단될수록 생존율이 더 높다. 그러나 서구 국가에서는 대부분의 위암 사례가 진행된 상태에서 진단되기 때문에 예후가 좋지 않다. 위암의 조기 발견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선별 검사(screening) 및 내시경 감시(endoscopic surveillance) 전략을 시행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만성 위축성 위염(CAG)의 중증도와 분포를 평가하고 위험도를 계층화하기 위해 OLGA(Operative Link on Gastritis Assessment) 및 OLGIM(Operative Link on Gastric Intestinal Metaplasia)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이전의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에서는 대부분의 자료가 증례-대조 연구(case-control study)였으며, OLGA 및 OLGIM 시스템의 3~4단계(stage III/IV)가 위암 위험 증가와 연관되어 있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유럽소화기내시경학회(ESGE)와 미국소화기학회(AGA)는 고위험군 환자에게 고품질의 내시경을 통한 감시를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발표된 새로운 연구에서는 OLGA나 OLGIM에서 고도 병변(advanced stage)뿐 아니라, OLGIM II 단계의 환자도 이형성(dysplasia) 및 위암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는 증거가 제시되었으며, 이들 환자 역시 내시경 감시의 이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몇 년 사이에 OLGA 및 OLGIM 시스템의 유용성을 평가한 새로운 전향적 코호트 연구들이 발표되면서, 이러한 연구만을 포함한 새로운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전향적 코호트 연구는 보다 정확하고 체계적인 추적관찰이 가능하며, 위 병변의 진행을 종단적으로 문서화할 수 있어, 이러한 병기 시스템의 예측 타당성(predictive validity)에 대해 더 강력한 근거를 제공하며, 선택 편향(selection bias) 및 후향적 오분류(retrospective misclassification)을 피할 수 있다.

본 리뷰의 목적은 전향적 코호트 연구 데이터를 분석하여, OLGA 및 OLGIM의 고도 병기(advanced stages)와 위암 발생 위험 간의 연관성을 정량화하는 것이다. 또한 OLGA 및 OLGIM II 단계가 위암 발생에 미치는 위험도를 명확히 밝히고자 한다.


Materials and methods 

이 체계적 문헌고찰은 2020년 PRISMA(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위한 선호 보고 항목) 지침에 따라 보고되었으며, PROSPERO 데이터베이스(CRD42024565771)에 등록되었다.

Search strategy 

우리는 다음의 네 가지 전자 데이터베이스(PubMed, Embase, Web of Science, Scopus)를 검색했으며, 검색 기간은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점부터 2025년 1월 21일까지였다. 검색에 사용된 주요 키워드는 “Stomach Neoplasms(위 신생물)”, “operative link on gastritis assessment(OLGA)”, “operative link on gastritis intestinal metaplasia assessment(OLGIM)”이었다. 검색 전략은 보조 자료(Supplemental Material)에 제공되어 있다.
언어나 출판 날짜에 대한 제한은 없었다. 전자 검색이 완료된 후에는 수작업 검색도 수행되었다. 관련성이 있어 보이는 제목들은 직접 검토하여 확인하였고, Google Scholar의 인용 검색 기능을 이용해 인용 검색도 수행하였다.

Eligibility criteria

우리는 다음 기준에 해당하는 전향적 코호트 연구들을 포함하였다:
이들 연구는 이전에 위암 병력이 없는 성인 환자(≥18세)를 대상으로 하였고, 초기 내시경 시 위 맵핑 생검을 시행하여 OLGA 및 OLGIM 시스템에 따라 분류한 후, 내시경을 통해 추적 관찰한 연구들이었다.

다음에 해당하는 연구들은 제외하였다:
초록만 존재하는 연구, 환자-대조군 연구 또는 단면 연구, 과거 위암 병력이 있는 환자를 포함한 연구, 위암 고위험군만을 추적한 연구, 중복되거나 유사한 내용을 담은 연구.

또한, 위축성 위염이 제한적으로 있는 환자 또는 자가면역성 위염(AIG) 환자만을 모집한 연구들도 제외하였다. OLGA 및 OLGIM 시스템은 만성 위축성 위염(CAG) 환자, 즉 전정부와 체부 점막 모두에 병변이 존재하는 환자들의 위암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이다[14]. 반면, 자가면역성 위염(AIG)에서는 전정부 점막이 보존되는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15], OLGA 및 OLGIM 시스템은 이러한 환자들의 실제 위암 발생 위험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없다고 판단된다.

Study selection

전자 검색을 통해 논문들을 다운로드한 후, EndNote X8 소프트웨어에 저장하였다. 중복된 기록을 제거한 후, 선택된 연구들은 Rayyan QCRI (https://rayyan.qcri.org/)에 업로드되었다. 두 명의 연구자(H.B.-G.와 D.C.-H.)가 포함 및 제외 기준에 따라 연구들을 선별하였으며, 의견 불일치가 있을 경우 제3의 연구자(A.V.H.)가 이를 조정하였다.

Outcomes

1차 결과는 모든 병기에 해당하는 위암(GC)이었습니다. 2차 결고도이형성(HGD)이었습니다. 

또한, OLGA/OLGIM II 단계0–I 단계와 비교하여 HGD 및 GC의 복합 2차 결과 발생과의 연관성도 평가하였습니다.

Data extraction

두 명의 연구자(H.B.-G.와 D.C.-H.)가 사전에 설계된 Microsoft Excel® 스프레드시트를 사용하여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추출하였습니다.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추출되었습니다: 저자명, 출판 연도 및 국가, 표본 수, 위암의 직계 가족력,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p) 감염 여부, 흡연력, 자가면역성 위염(AIG) 여부, OLGA/OLGIM 단계, 그리고 결과 변수.

Risk of bias assessment

코호트 연구의 편향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Newcastle-Ottawa Scale (NOS) 도구를 사용했습니다.
연구는 세 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었습니다:

  • 낮은 편향 위험 (8–9점)

  • 중간 편향 위험 (5–7점)

  • 높은 편향 위험 (0–4점)

Statistical analysis 

모든 메타 분석은 역분산 랜덤 효과 모델을 사용하여 수행되었습니다. Paule Mandel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 간 분산(tau)을 계산했습니다.[2,17] 하나 이상의 노출 그룹에서 사건이 발생하지 않은 연구를 고려하기 위해, 치료 그룹 연속성 수정 방법을 적용하여, 모든 셀에 작은 상수(0.5)를 추가했습니다. 이 접근 방식은 상대 위험도를 계산할 때 계산 문제를 방지하고 효과 추정치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편향을 최소화합니다.[18] 모든 결과는 위험 비율(risk ratio, RR)과 그 95% 신뢰 구간(CI)을 사용하여 풀었습니다. 이질성 카이제곱 검정(기준 p < 0.10)과 I2 통계를 사용하여 평가했습니다. 통계적 이질성의 정도는 I2 < 30%일 경우 낮음, I2가 30%–60%일 경우 중간, I2 > 60%일 경우 높음으로 정의했습니다. 민감도 분석은 AIG 환자가 대부분인 코호트를 제외하고, GC 발생률이 높은 코호트만 포함시키며, 절대 위험 차이(risk differences, RD)를 계산하는 대신 RR을 사용하여 수행했습니다. 모든 메타 분석은 R 3.6.3 (http://www.r-project.org/)의 meta 패키지를 사용하여 수행했습니다. 양측 p < 0.05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Results 

Study selection

919개의 기록이 전자 검색을 통해 조회되었습니다. 422개의 중복을 제거한 후, 497개의 연구가 제목/초록 및 전체 텍스트 스크리닝을 거쳤습니다. 제목/초록을 통해 스크리닝한 결과, 477개의 기사가 제외되었습니다. 20개의 기사를 전체 텍스트 평가한 후, 13개의 기사가 제외되었습니다. 또한 수동 검색을 통해 2개의 기록이 추가로 조회되었습니다. 전체 텍스트 검사 후, 관심 있는 결과 측정이 없어서 1개의 기록이 제외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8개의 연구가 분석에 포함되었으며, 그 중 7개는 전자 검색에서, 1개는 수동 검색에서 포함되었습니다 (그림 1).

Study characteristics

8개의 연구의 주요 특징은 표 1에 요약되어 있습니다. 

12,526명의 환자가 포함되었으며, 샘플 크기는 79명에서 7,436명까지 다양합니다.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48.2세에서 64.9세 사이였고, 46%는 남성이었습니다. 7개의 연구는 영어로 작성되었고(11,19–23,25), 1개의 연구는 중국어로 작성되었습니다(24). 

4개의 연구는 가족 내 위암(GC)에 대한 정보를 보고했으며(11,22–24), 5개의 연구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p) 감염 상태를 보고했습니다(11,19,21–23), 3개의 연구는 흡연 이력을 보고했습니다(11,22,23). 두 개의 코호트에서는 자가면역성 위염(AIG) 환자와 만성위염(CAG) 환자가 함께 포함되었으며(22,23), 이는 전체 환자 수의 1.6%에 해당하는 206명의 환자입니다. 추적 기간은 3년에서 10년 사이였으며, 위암(GC) 사례의 대부분은 I기와 II기에서 진단되었습니다.

Risk of bias assessment 

NOS 평가에 따르면, 모든 연구는 교란 변수를 조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중간 정도의 편향 위험을 가졌습니다(표 S1). 고위험 편향으로 평가된 연구는 없었습니다.

Table S1. Newcastle‐Ottawa scale Quality Assessment

OLGA and OLGIM score system and the risk of GC 

다섯 개의 연구에서는 OLGA 병기 시스템을 사용하여 위암(GC) 발생 위험을 평가하였으며, 총 8,978명의 환자가 포함되었습니다.19,22-25 추적 관찰 기간 동안 30건의 위암이 진단되었으며(발생률 0.3%),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4.4년이었습니다. OLGA III–IV 단계는 OLGA 0–II 단계에 비해 위암 발생과 유의하게 연관되어 있었으며, 상대위험도(RR)32.31(95% 신뢰구간 9.14–114.21)로 나타났고, 이질성은 낮았습니다(I2 = 23%; 그림 2(a)). OLGA II 단계를 OLGA 0–I 단계와 비교한 경우, 위암 발생 위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습니다(RR 3.21, 95% CI 0.47–21.75; 그림 2(b)).

Figure 2. OLGA stages and risk of HGD and GC. (a) Forest plot for studies assessing the association of OLGA stages with the risk of GC. (b) Forest plot for studies assessing the association of OLGA II versus 0–I stages with the risk of GC. (c) Forest plot for studies assessing the association of OLGA stages with the risk of HGD and GC. (d) Forest plot for studies assessing the association of OLGA II versus 0–I stages with the risk HGD and GC. CI, confidence interval; GC, gastric cancer; HGD, high-grade dysplasia; OLGA, Operative Link on Gastritis Assessment; RR, risk ratio. 

여섯 개의 연구에서는 OLGIM 병기 시스템을 사용하여 위암을 예측하였으며, 총 4,393명의 환자가 포함되었습니다.11,20-23,25 추적 관찰 기간 동안 34건의 위암이 진단되었으며(발생률 0.8%),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4.0년이었습니다. OLGIM III–IV 단계는 OLGIM 0–II 단계에 비해 위암 발생과 유의하게 연관되어 있었으며, RR은 12.38(95% CI 5.75–26.65)로 나타났고, 이질성은 낮았습니다(I2 = 0%; 그림 3(a)). OLGIM II 단계 또한 OLGIM 0–I 단계에 비해 위암 발생 위험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RR은 9.99(95% CI 3.39–29.42)였습니다(그림 3(b)).

Figure 3. OLGIM stages and risk of GC. (a) Forest plot for studies assessing the association of OLGIM stages with the risk of GC. (b) Forest plot for studies assessing the association of OLGIM II versus 0–I stages with the risk of GC. (c) Forest plot for studies assessing the association of OLGIM stages with the risk of HGD and GC. (d) Forest plot for studies assessing the association of OLGIM II versus 0–I stages with the risk of HGD and GC. CI, confidence interval; GC, gastric cancer; HGD, high-grade dysplasia; OLGIM, Operative Link on Gastric Intestinal Metaplasia Assessment; RR, risk ratio.

OLGA and OLGIM score system and the risk of HGD and GC 

OLGA 및 OLGIM 병기 III–IV 단계 환자들은 고도이형성증(HGD)과 위암(GC)을 포함한 복합 이차 결과 발생 위험유의하게 더 높았습니다(RR 26.85, 95% CI 4.99–144.60 및 RR 11.06, 95% CI 6.33–19.29, 각각; 그림 2(c) 및 3(c)).

또한, OLGA 및 OLGIM 병기 II 단계 역시 OLGA 및 OLGIM 병기 0–I 단계에 비해 HGD 및 GC 발생 위험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RR 12.76, 95% CI 3.73–43.60 및 RR 8.15, 95% CI 3.52–18.87, 각각; 그림 2(d) 및 3(d)).


Sensitivity analyses

위암 발생률이 높은 국가들의 코호트 데이터를 통합했을 때에도, OLGA 및 OLGIM 병기 III–IV 단계에서의 효과여전히 높게 나타났습니다(RR 27.14, 95% CI 7.77–94.85 및 RR 14.75, 95% CI 5.45–39.89, 각각; 그림 S1 및 S2).

Figure S1: Forest plot for studies assessing the association of OLGA stages with risk of gastric cancer including only countries with high incidence of gastric cancer. Abbreviations: OLGA, Operative Link on Gastritis Assessment; CI, confidence interval; RR, risk ratio. 

Figure S2: Forest plot for studies assessing the association of OLGIM stages with risk of gastric cancer including only countries with high incidence of gastric cancer. Abbreviations: OLGIM, Operative Link on Gastric Intestinal Metaplasia Assessment; CI, confidence interval; RR, risk ratio.

위험차(RD)를 계산한 결과, 결과의 크기에는 변화가 없었습니다. OLGA III–IV 병기는 위암의 절대 위험을 4% 증가시키는 것과 연관되어 있었고(그림 S3), OLGIM III–IV 병기절대 위험을 5% 증가시키는 것과 연관되어 있었습니다(그림 S4). 이는 각각 OLGA 및 OLGIM 병기 0–II 단계와 비교한 결과입니다.

Figure S3. Forest plots showing effect estimates (absolute risk difference) of OLGA III-IV versus OLGA 0-II. Abbreviations: OLGA, Operative Link on Gastritis Assessment; CI, confidence interval; RR, risk ratio. 

Figure S4. Forest plots showing effect estimates (absolute risk difference) of OLGIM III-IV versus OLGIM 0-II. Abbreviations: OLGIM, Operative Link on Gastric Intestinal Metaplasia Assessment; CI, confidence interval; RR, risk ratio. 

자가면역성 위염(AIG) 환자가 대부분을 차지한 한 연구를 제외했을 때, OLGA 시스템의 예측력을 평가할 때 이질성이 감소했지만, 전체적인 통합 결과는 유사하게 유지되었습니다(그림 S5 및 S6).

Figure S5. Forest plot for studies assessing the association of OLGA stages with risk of gastric cancer excluding one study that included mostly patients with autoimmune gastritis. Abbreviations: OLGA, Operative Link on Gastritis Assessment; CI, confidence interval; RR, risk ratio. 

Figure S6. Forest plot for studies assessing the association of OLGIM stages with risk of gastric cancer excluding one study that included mostly patients with autoimmune gastritis. Abbreviations: OLGIM, Operative Link on Gastric Intestinal Metaplasia Assessment; CI, confidence interval; RR, risk ratio.


Discussion 

Main findings

전향적 코호트 연구만을 포함한 본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결과, OLGA 및 OLGIM 병기 III–IV 단계위암(GC) 발생 위험 증가와 강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OLGIM II 단계 환자에서는 OLGIM 0–I 단계에 비해 고도이형성증(HGD) 및 위암의 발생 위험이 유의하게 더 높았습니다.
NOS 평가에 따르면, 포함된 연구 중 고위험의 편향(risk of bias)으로 분류된 연구는 없었습니다.

OLGA II 단계 환자에서는 OLGA 0–I 단계와 비교하여 위암 발생 위험의 유의한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HGD와 위암을 포함한 복합 이차 결과에서는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습니다.

위암 발생률이 높은 국가의 연구들만 포함했을 때도 결과는 동일하였으며, 자가면역성 위염(AIG) 환자를 주로 포함한 Esposito 등의 연구를 제외한 경우, OLGA 및 OLGIM 병기 III–IV 단계에서 위암 발생 위험은 더욱 높아졌습니다.

또한, OLGA 및 OLGIM 병기 III–IV 단계 환자들은 HGD 및 위암으로 구성된 복합 이차 결과의 발생 위험 역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What is known in the literature about the research question?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p) 감염은 위암(GC) 발생의 주요 위험인자입니다.26 전체 위암 사례의 90% 이상에서 만성 Hp 감염과의 인과관계가 잘 확립되어 있습니다.27 Hp 감염에 의한 만성 염증은 위축성 위염(CAG)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장상피화생(IM)이 동반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여러 선행 연구들은 CAG와 IM이 있는 환자에서 위암 발생률이 더 높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28,29 CAG에서 위암으로의 진행 위험은 위축의 심한 정도와 범위에 따라 0.1%에서 0.3%까지 다양합니다.20,30

Thiruvengadam 등은 미시 시뮬레이션 모델을 통해, 장상피화생(IM)이 있는 환자에 대해 5년마다 내시경 감시를 시행하는 것이 위암 발생률과 사망률을 감소시킨다는 결과를 보고하였습니다.⁽³¹⁾ 

하지만 위암 고위험군을 선별할 수 있는 도구가 있다면, 이들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전략을 실행함으로써 예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입니다. OLGA 및 OLGIM 분류위축성 변화 또는 장상피화생 변화의 범위와 심각도에 따라 위암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제안된 조직학적 병기 시스템입니다.⁽⁷,¹⁴⁾
기존에 발표된 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에서는, 주로 환자-대조군 연구를 포함하였으며 OLGA 및 OLGIM의 고도 병기(III/IV)와 위암 발생 위험 증가 사이의 연관성을 보고하였습니다.⁽⁸⁾ 하지만 이 분석에는 코호트 연구가 두 편만 포함되었고, 대부분의 연구는 소규모였습니다. 

 Den Hollander 등낮은 위험군에서 OLGIM 0–IIOLGIM III–IV 간의 신생물 진행 비율에 큰 차이가 없다고 보고하였습니다.⁽²⁰⁾ 그러나 본 메타분석에서는 OLGA 및 OLGIM 병기 III–IV 단계 환자에서 위암 발생 위험이 유의하게 높다는 결과가 도출되었습니다. Den Hollander 등은 조직학적 방법펩시노겐(pepsinogen) 비율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위암 고위험군을 식별하는 데 추가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펩시노겐 I의 혈청 수치가 낮거나, 펩시노겐 I/II 비율낮거나, 또는 이 둘 모두가 낮은 경우CAG 및 IM을 시사하는 지표로 간주되며, 이는 위암의 전암 병변으로 정의됩니다.⁽³²,³³⁾ 하지만 펩시노겐의 위암 바이오마커로서의 의미에 대한 기존 체계적 문헌고찰에서는, 위암을 식별하는 데 있어서 그 진단적 가치가 중간 정도에 불과하며, 특히 서구 국가들에서는 적절한 검증이 부족하다는 점이 지적되었습니다.⁽³⁴⁾ 효율적인 내시경 감시 간격을 결정하는 것은 위암 발생 위험에 근거하여 설정되어야 하며, 동시에 내시경 관련 부작용 및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유럽소화기내시경학회(ESGE)와 미국소화기학회(AGA)는 OLGA 및 OLGIM 병기 III–IV 단계 환자에 대해 3년마다 고품질 내시경 추적검사를 권고하고 있습니다.⁽⁹,¹⁰⁾ 그러나 최적의 감시 간격은 아직 확립되지 않았으며, 초기 내시경의 질, 위암 가족력, 불완전 장상피화생의 존재, 지속적인 Hp 감염, 흡연력 등의 추가적인 위험인자들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⁹,¹⁰⁾ 이러한 특정 상황에서는 더 짧은 추적 간격이 유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본의 15개 기관에서 수행된 최근 후향적 연구에서는, 현재 Hp 감염 상태와 1.5년을 초과하는 내시경 추적 간격pT1b 이상 깊이의 위암을 진단할 위험요인으로 독립적으로 작용한다는 결과를 보고하였습니다.⁽³⁵⁾ 

OLGA 및 OLGIM 병기 III–IV 단계에서 위암(GC)으로의 진행 위험이 더 크지만, 중간 단계인 OLGA 및 OLGIM II 단계 또한 특히 불완전 장상피화생이나 위암 가족력이 있는 경우 유의한 위험을 가질 수 있다는 제안이 있습니다.⁽⁹⁾ Lee 등⁽¹¹⁾은 OLGIM II 단계 역시 추적 관찰 중 이형성(dysplasia) 및 위암 발생 위험이 유의하다고 보고하였습니다. OLGIM III–IV 그룹에서 고도이형성(HGD) 및 위암이 나타나기까지의 중앙 시간은 22.7개월(범위 12.7–44.8개월)이었으며, OLGIM II 그룹에서는 50.7개월(범위 28.4–73.3개월)이었습니다. 이 중간 병기 환자군에서는 진행까지의 시간이 더 길긴 했지만, 저자들은 OLGIM II 단계 환자도 내시경 추적검사 대상에 포함되어야 하며, 다만 고위험 환자처럼 철저한 감시는 필요하지 않다고 제안했습니다.

 Latorre 등⁽²³⁾도 유사한 결과를 보고하였으며, OLGIM III–IV 단계에서는 HGD 및 위암이 나타나기까지의 중앙 시간이 35개월(범위 18–37개월), OLGIM II에서는 70.5개월(범위 67–74개월)로 나타났습니다. 마찬가지로 OLGA 병기를 기준으로 평가했을 때, OLGA III–IV 단계에서는 33개월(범위 18–38개월), OLGA II 단계에서는 70.5개월(범위 67–74개월)이었습니다.⁽²³⁾

또한, Wu 등⁽³⁶⁾은 후향적 추적연구에서 OLGIM II 단계를 위암의 저위험 병기로 간주하는 기존의 견해에 도전하였습니다. 특히 지속적인 Hp 감염이 있는 환자에서 그러했는데, 위암으로 진행된 8명의 환자 중 3명이 OLGIM II 단계였으며, 모두 Hp 박멸 치료에 실패한 사례였습니다. 이 결과는 세균의 지속적인 존재가 질병의 진행을 가속화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최근의 증례-대조군 연구에서는 조기 위암 환자 196명매칭된 대조군 196명을 포함하였고, OLGA 및 OLGIM II 병기가 위암 환자군에서 대조군보다 더 흔하게 관찰되었습니다.⁽³⁷⁾ 특히, OLGIM II 단계는 OLGIM 0–I 단계에 비해 조기 위암의 위험이 4배 이상 높았으며(오즈비 OR 4.11; 95% CI 2.51–6.74), 이는 주목할 만한 결과입니다.

Hp 감염 상태와 관련하여, 과거 감염이 현재 감염보다 조기 위암 위험을 더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OR 1.87; 95% CI 1.16–3.02). 이는 세균이 제거된 이후에도 Hp에 의한 손상의 장기적인 영향이 지속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또한, 이전의 다른 증례-대조군 연구에서 Marcos 등⁽³⁸⁾은 OLGIM 병기 I–II 단계가 OLGIM III–IV보다는 위험이 낮지만, 여전히 이형성 및 조기 위암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음을 보고하였으며, OLGA 병기 I–II는 이러한 연관성이 없었습니다.

우리의 리뷰에서는 OLGIM 0–I 단계에 비해 OLGIM II 단계 환자에서 위암(GC) 위험이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OLGA II 단계 환자도 OLGA 0–I 단계에 비해 암 발생 위험이 증가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에 도달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OLGA II 단계 내에서는 고도이형성(HGD) 및 위암 발생 위험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전에 Rugge 등⁽³⁹⁾은 OLGIM II 단계로 분류된 환자 중 두 명이 위암을 진단받았고, 이들은 모두 OLGA III 단계 위축성 위염을 동반하고 있었다고 보고했습니다. 저자들은 장상피화생(IM)만을 기준으로 평가하는 OLGIM 시스템이 고위험 환자 식별에 덜 민감할 수 있으며, 추적 관찰이 필요한 환자를 저위험군으로 잘못 분류(down-staging)할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Rugge 등⁽³⁹⁾은 OLGIM 병기 시스템이 장상피화생이 없는 위축성 위염 환자에서 실제 위험을 과소평가할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한편, OLGIM 시스템은 OLGA에 비해 병리학자 간 일치도가 높고, 적용이 더 간단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⁷,⁴⁰⁾ Den Hollander 등⁽²⁰⁾은 OLGA 시스템을 사용한 경우, 추적 관찰 중 HGD/GC가 발생한 네 명 모두 초기 내시경 검사에서 OLGA 0–I 단계로 분류되었기 때문에, 이들은 기존 기준으로는 추적 관찰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보고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분류 시스템 각각의 성능을 고려할 때, 위암 위험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OLGA와 OLGIM 병기 시스템을 병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OLGA 및 OLGIM 시스템의 초기 병기 환자 대부분은 내시경 추적검사의 이득이 없을 수 있으나, 병기의 진행 또는 퇴행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은 강조할 필요가 있습니다.⁽¹¹,²¹,²³⁾ 병기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위암의 가족력이나 흡연이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제안되었습니다.⁽⁴¹⁾ Lee 등⁽¹¹⁾은 펩시노겐 비율OLGIM I 단계에서 II–IV 단계로의 진행을 예측하는 데 유의한 지표가 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장상피화생이 위각(antrum)에 국한되어 있더라도, 불완전형(incomplete) IM의 경우 위암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²¹⁾

자가면역성 위염(AIG)은 벽세포(parietal cell)의 손실로 인해 위축과 장상피화생이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입니다. AIG 환자, 특히 광범위한 위축이 동반된 경우 위암 위험이 증가한다는 일부 근거가 존재합니다.⁽⁴²–⁴⁴⁾ 관찰 연구들은 진단 후 첫 1년 이내에 위암 위험이 더 높다고 보고하였으며, 이에 따라 일부 학회에서는 AIG 진단 시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권고하고 있습니다.⁽⁹,¹⁰⁾ 그러나 Rugge 등⁽⁴⁵⁾은 헬리코박터 감염이 없는 AIG는 위암 위험 증가와 관련이 없어 보인다고 보고하였습니다. Jeong 등⁽⁴⁶⁾은 AIG 환자들이 비교적 양성의 장상피화생 표현형을 보이며, 선암 위험 증가와 관련된 증식성 장상피화생 세포 계통이 결여되어 있다고 제안하였습니다. 다만, AIG 환자에서는 신경내분비 증식(neuroendocrine proliferation)의 진행 위험은 증가할 수 있습니다.⁽⁴⁵,⁴⁶⁾ 

Esposito 등⁽²²⁾은 OLGA/OLGIM 시스템이 위암 발생을 예측하는 데 낮은 성능을 보였다고 보고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해당 연구의 대부분이 자가면역성 위염(AIG) 환자였기 때문일 가능성이 큽니다. <OLGA 및 OLGIM 시스템 전정부(antrum)와 체부(corpus) 점막이 모두 포함된 만성 위축성 위염(CAG) 환자에서 위암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시스템>입니다. 반면 AIG는 체부에 국한된 심한 위축을 특징으로 하며, 주로 산분비 점막(oxyntic mucosa)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입니다. 따라서 OLGA/OLGIM 시스템은 이러한 AIG의 병리적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¹⁵⁾

우리의 분석에는 Esposito 등⁽²²⁾의 AIG 환자 중심 연구도 포함되었지만, 전체 분석 결과에서는 고위험 OLGA/OLGIM 병기(III–IV)가 위암 위험 증가와 일관되게 연관되어 있었습니다. 이는 Esposito 연구의 표본 크기가 다른 대규모 코호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또한 해당 연구를 제외했을 때, OLGA 및 OLGIM III–IV 단계에서 위암 발생 위험이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Jun 등⁽⁴⁷⁾은 최소한 한 번의 내시경 검사위암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생애 동안 내시경을 많이 받을수록 그 효과가 커진다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Yasuda 등⁽³⁵⁾은 추적검사 간격이 1.5년 미만일 경우, pT1a 단계의 위암을 진단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예후가 더 좋다고 보고했습니다. 우리 리뷰에서도 위암 환자의 대부분이 병기 I 또는 II에서 진단되었으며, 이들 환자들은 내시경적 혹은 외과적 치료를 받았습니다. 만약 이들이 추적관찰 코호트에 포함되지 않았다면, 초기에 발견되지 못했을 가능성이 크며, 이는 내시경 추적검사 프로그램이 위신생물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을 시사합니다.

What our study adds to the literature
현재까지의 문헌에 따르면, 오직 전향적 코호트 연구만을 포함하여 위암 발생 위험을 평가한 메타분석은 없었습니다. 사례-대조군 연구는 선택 편향(selection bias)후향적 자료 수집의 한계가 있지만, 전향적 코호트 연구는 위암 발생 이전에 OLGA/OLGIM 병기를 평가함으로써 시간적 인과관계를 보다 정확하게 검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설계는 임상 적용 측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를 더욱 신뢰할 수 있게 합니다.

우리의 연구에서는 OLGA 및 OLGIM 고병기 환자들HGD 및 위암 발생 위험이 더 높다는 점을 확인했으며, 중간 단계(OLGA/OLGIM II)에서도 HGD 및 위암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고위험 환자에 대한 보다 밀접한 추적관찰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OLGA 및 OLGIM 시스템의 의료 현장 도입고위험군을 선별하여 집중적인 감시와 조기 개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반이 될 수 있습니다.

Limitations 

이번 리뷰에는 몇 가지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첫째, 포함된 모든 연구는 중등도 이상의 비뚤림(bias) 위험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주의 깊게 해석해야 합니다. 이 점은 향후 혼란변수를 철저히 통제한 고품질의 대규모 전향적 코호트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OLGA 및 OLGIM 병기 시스템의 위암 위험 예측에 대한 근거를 보다 강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둘째, 일부 연구에는 자가면역성 위염(AIG)으로 진단된 환자가 포함되어 있었지만, 이러한 환자 수가 적어 전체 결과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이었습니다. 더욱이 민감도 분석에서 AIG 환자가 주로 포함된 연구를 제외했을 때, OLGA 및 OLGIM 고병기에서 위암 발생 위험이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셋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p) 감염 상태는 위암 발생 위험인자로 고려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위암으로의 진행에는 Hp 감염 외에도 숙주의 유전적 또는 후생유전학적 요인관여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⁴⁸⁾. 향후 연구에서는 기저 시점 및 추적관찰 동안 Hp 상태를 자세히 평가하고, 제균 치료 여부 및 재감염률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러한 접근은 OLGA 및 OLGIM 병기 체계 내에서 위암 전구 병변의 진행에 대한 Hp의 영향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넷째, 장상피화생(IM)의 아형(subtype)에 따른 분석은 수행되지 않았습니다. 이전 연구에서는 불완전형(incomplete) IM이 위암의 추가적인 위험인자임을 시사한 바 있습니다⁽⁴⁹⁾. 그러나 본 연구에 포함된 문헌 중 단 두 편만이 IM 아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기 때문에, 해당 변수에 대한 위험도 분석은 수행할 수 없었습니다.

다섯째, 체계적인 검색을 수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출판되지 않은 연구(unpublished studies)는 누락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Conclusion

우리의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은 OLGA 및 OLGIM 병기 시스템위암(GC) 및 그 전구병변의 위험을 예측하는 데 있어 가지는 예후적 가치종합적으로 평가하였습니다. 분석 결과, OLGA 및 OLGIM 시스템 모두에서 병기(stage)가 높을수록 위암 발생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OLGA 및 OLGIM 병기 II단계(중간 단계) 역시 위암으로의 진행 위험이 III–IV단계보다는 낮지만, 여전히 유의미한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한편, OLGA 및 OLGIM 시스템은 자가면역성 위염(AIG) 환자에서 위암 위험 평가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Abstract>

Background: The Operative Link on Gastritis Assessment (OLGA) and Operative Link on Gastric Intestinal Metaplasia Assessment (OLGIM) are established classification systems used to evaluate atrophic gastritis and intestinal metaplasia, respectively.

Objectives: We evaluated the association of OLGA and OLGIM scores and the risk of gastric cancer (GC) in only prospective cohort studies

Design: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Data sources and methods: We systematically searched four databases for prospective cohorts that evaluated the use of OLGA and OLGIM staging systems in predicting the risk of GC. We primarily compared OLGA/OLGIM III–IV versus OLGA/OLGIM 0–II categories and GC events. Pooled risk ratios (RR) and absolute risk differences with their 95% confidence intervals (CIs) were calculated. 

Results: Eight studies were included (n=12,526).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ranged from 48.2 to 64.9years. OLGA III–IV and OLGIM III–IV wer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GC in comparison to their 0–II categories (RR 32.31, 95% CI 9.14–114.21 and RR 12.38, 95% CI 5.75–26.65, respectively). OLGA III–IV and OLGIM III–IV we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the absolute risk of GC of 4% and 5%, respectively. The risk remained significant if we only included countries with high incidence of GC, and was greater if we excluded one study that included mostly patients with autoimmune gastritis. OLGA II and OLGIM II were associated with higher risk of high-grade dysplasia (HGD) and GC in comparison with OLGA 0–I and OLGIM 0–I, respectively. 

Conclusion: Higher stages in OLGA and OLGIM systems are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HGD and GC, validating these scoring systems for the assessment of GC risk and the design of endoscopic surveillance programs. 

Trial PROSPERO registration: CRD42024565771. 

Keywords: atrophic risk assessment, gastric cancer, gastritis, meta-analysis, systematic review

0 0


대한자가면역성위염연구회

주소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중부대로 579, 508-23호

대표전화 : 070-8080-0453

이메일 : autogastritis@gmail.com 


Copyright (c)대한자가면역성위염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Design Hosting By 위멘토.


대한자가면역성위염연구회

주소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중부대로 579, 508-23호 (구갈동, 강남대프라자)

대표전화 : 070-8080-0453  이메일 : autogastritis@gmail.com 


Copyright (c)대한자가면역성위염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Design Hosting By 위멘토.